목록분류 전체보기 (473)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wCfe/btsIBVgw9SY/hqC75G5dx06WcpXb4sNZo0/img.png)
LVMLVM은 VG, PV, PP, LV, LP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SMIT 명령어로 VG(Volume Group)을 만들어서 사용한다.파티션을 나누고, 그 용도를 나누고 그 곳에 무엇을 넣어둘지 나누고 그것을 자유자재로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VG (Volume Group)볼륨 그룹은 저장장치 할당의 가장 큰 단위입니다.위 그림에서 ROOTVG로 되어 있는것이 VG 입니다.앞의 ROOT는 이 VG의 이름입니다.ROOTVG를 제외한 다른 VG들은 얼마든지 이용자 마음대로 이름을 정할 수 있습니다.VG는 하나의 PV부터 여러개의 PV를 가질 수 있습니다.즉 PV 1개 이상이 모여서 VG를 만들게 됩니다.하나의 PV는 한개의 VG에만 속합니다. PV (Physical Volume)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xuS3/btsIA9zEphH/AsfGzBVApqarFdqZveTf01/img.png)
빨간색 그룹 : 파일 소유자가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나타냄.주황색 그룹 : 파일 소유자와 같은 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나타냄.노란색 그룹 : 그외 기타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할 수 있는지 나타냄. r은 읽기 권한, w는 쓰기 권한, x는 실행 권한 rwx 순서로 표현이 되며 rwx 자리에 - 표시가 있는경우 해당 권한이 없음을 뜻한다. r : 일반 파일의 경우 그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음 디렉토리 파일의 경우 그 디렉토리의 내용을 볼 수 있음 w : 일반 파일의 경우 파일 수정 및 이름 변경은 가능하나 파일 자체를 삭제 할 수는 없음 디렉토리 파일의 경우 디렉토리에 파일을 만들거나 삭제 할 수 있음 x : 일반 파일에서 파일을 명령어 처럼 사용 할 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ggIu/btsIzoKNXDo/Y4xxcKyOatqmOjkiXsqwk1/img.png)
※ 미러링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hdisk1에 있는 LV를 hdisk0번으로 옮기는 과정 # lspv# extendvg rootvg hdisk1# lspv How 1) command 통해서 LV 생성# mklv -y testlv -t jfs2 -e x rootvg 5 hdisk1 How 2) smitty 통해서 LV 생성# smitty mklv LV 생성 확인# lspv -l hdisk1 마운트 포인트가 없기에 파일 시스템 만들어준다How 1) command 통해서 FS 생성# crfs -v jfs2 -d testlv -m /migrate_fs -A yes -p rw -a agblksize=512 How 2 ) smitty 통해서 FS 생성# smitty jfs2> Add an Enh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ti9Bn/btsIy1QaU7H/ZcskwP0XoDCORk2oKHsSJk/img.png)
※ 기존의 게이트를 수정 하였지만 리부팅 시 기존 정보와 수정한 정보를 같이 가져와 게이트웨이가 이중으로 잡혔을 때( routing 정보에서 잘못된 Dafault Gateway를 삭제하고 재방 방지를 하기 위해 ODM에서도 삭제해준다 ) IP : 192.168.0.50이고, Gateway가 192.168.0.255에서 192.168.0.100 변경된 경우잘못된 기존 Gateway 삭제# route delete 0 192.168.0.255 # odmget -q attribute=route CuAt ODM에서 해당정보 삭제# odmdelete -o CuAt -q value=net, -hopcount,0,,0,192.168.0.255 ODM 조회 (삭제 되었는지)# odmget -q attribut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F1RUa/btsIz79Budi/IKaBlm1Fwr2lmg3pl7uGjK/img.png)
※ mklv -y 생성할 LV -t jfs2 rootvg 10 LV 생성 # mklv -y createLV -t jfs2 rootvg 10 # lsvg - l rootvg mklvcopy 명령어를 사용하여 LPs 두배로 늘린다# smitty mklvcopyor# mklvcopy createLV 2 hdisk0 LV sync# syncvg -l createLV # lsvg -l rootv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z9F1/btsIygGz8uJ/EPOp06hOavtZbByoGjCpX1/img.png)
※ migratepv -l LV이름 기존disk 이동하고자하는disk lg_dumplv 위치한 disk확인# lslv -m lg_dumplv hdisk1로 lg_dumplv 옮겨짐# mirgratepv -l lg_dumplv hdisk0 hdisk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phcm/btsInpIWH1I/E5kgaKbrd6KVPzObDvEvn0/img.png)
IBM SSD 권고 사용 방법은pdisk 포맷 형식의 레이드로 사용해야 퍼포먼스가 좋다고 말한다.pdisk → RAID → HDISK AIX 서버를 구성하는 여러 방식1. 기존 JBOD 포맷형식의 hdisk를 rootvg에 미러2. pdisk 포맷형식인 disk를 raid0으로 hdisk 만들어 rootvg를 미러3. pdisk 포맷형식의 disk를 raid5로 3개 이상의 hdisk 구성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1. JBOD 포맷 형태로 사용 중인 디스크가 fault인데새로 교체할 디스크의 포맷 형태가 pdisk인 경우(pdisk 포맷을 JBOD로 변경하고 일반적인 rootvg 디스크 교체) 2. pdisk 포맷 형태의 RAID0으로 hdisk 사용중인 디스크가 fault인데새로 교체할 디스크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RYH/btsIm4EWLTv/atCgfKXHUIvfHYxsx45K90/img.png)
▶ pdisk Raid0 디스크 교체1. 서버 모델 확인# uname -uM- 9117-MMA는 M/T- 02 숫자 빼고 나머지 S/N 2. 디스크 오류 확인# errpt 3. 디스크 포맷 형식 확인 ( pdisk인지 JBOD인지)# lsdev -Cc disk : RAID로 되어 있으면 pdisk 포맷 형식# lsdev -Cc pdisk : pdisk 확인# lsdev | grep -i raid : raid 컨트롤러 이름 확인# sissasraidmgr -Ll sissas0 -j3 : pdisk 상세 확인 diag 확인 방법# diag> Task Selection>> RAID Array Manager>>> IBM SAS Disk Array Manager>>>> List SAS Disk Arr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soc7/btsIk9gmKI9/bKb5Hvp5LKxxghuKzuXdGK/img.png)
1. CD-ROM 확인# lsdev -Cc cdrom 2. CD-ROM 마운트- root 권한으로 / 에서 # mkdir cdrom - CD-ROM에 CD 넣고# mount -rv cdrfs -o ro /dev/cd0 /cdrom 3. CD-ROM 마운트 제거 (CD회수)# umount /dev/cd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GtLy/btsIlEGd9kM/adQQz0LOyShlWn1l49cxvk/img.png)
자바 파일셋 확인# lslpp -l | grep -i java 압축해제# tar xvf Java8_64.jre.8.0.0.826.tar# tar xvf Java8_64.sdk.8.0.0.826 tar 현재 경로에서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 inutoc . 파일 생성# inutoc . 자바 버전 업데이트# smitty update_al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kqOU/btsIjxWm7gk/itWXIauoKtxGkDW42WL0Y1/img.webp)
URL : https://sourceforge.net/projects/xming/ 1. Xming 설치과정 2. Xming 설치 완료되면 X Launch 실행 파일이 생성 되는데 해당 프로그램 실행 3. putty 설정- Host Name 란에 서버 IP 입력 - Connection > SSH > X11- X display location 공란 or localhost:0 - 서버 접속 후 /etc/ssh/sshd_config 파일에 X11 Forwarding 'yes' 설정, UseLocalhost 'yes' 주석 해제# vi /etc/ssh/sshd_config - DISPLAY 변수에 값이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 echo $DISPLAY - 입력이 되어 있지 않다면 Local PC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yBnH/btsIiq3T8Fn/ekXjPtc8nW7XAJSEYrqRU1/img.png)
ODM에서 지우기 ODM에서 지울 시 lppchk, lslpp에서 파일셋 자체가 나오지 않게 된다. 1. 파일셋 확인# lppchk -v 2. 만일의 상황 대비해 현재 정보 백업# /usr/lib/instl/saveodms 3. /usr/lib/objrepos에서 지우기# export ODMDIR=/usr/lib/objrepos# odmget -q name= lpp : lpp_id 값 메모 순서대로 아래의 명령어 순차적으로 입력# odmdelete -q name=Java8_64.jre -o lpp# odmdelete -q lpp_name= Java8_64.jre -o product# odmdelete -q lpp_id=498 -o history# odmdelete -q lpp_id=498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