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504)
2swan

네트워크 세션 상태 점검(정상 시)# netstat -an | grep CLOSE 아파치 프로세스 full 여부 점검# ps -ef | grep httpd | wc -l 네트워크 세션 상태 점검(비정상 시)# netstat -an | grep CLOSE 자원사용률 - TOPAS 서버 정보 확인(서버기종, CPU, 메모리) 서버 정보 확인(IP) 서버 정보 확인(netstat -an) 기본 명령어

Thin Provisioning- 가상 디스크가 최초 0 Byte 부터 생성 되어 사용한 만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형태. 예를 들어 VM 생성시 100G 할당하고 10G의 OS를 설치 했다고 했을 시 실제 차지하는 물리 디스크 용량은 10G 장점 : 가상디스크의 생성이 빠르고 저장공간의 절약에 유리 단점 : thick 방식 보다 성능이 높지 않음. 가상 디스크에 파일을 삭제해도 파일 테이블의 index만 삭제하게 되므로 실제 물리 디스크 상에서는 줄어들지 않음 Thick Provisioning-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 때 할당한 디스크 사이즈 만큼 실제 물리디스크에 할당하는 방식thick 방식의 두가지 유형- lazy zeroed(느리게 비워지는 thick) :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 때 실제 ..

VMware로 Windows 설치 시 EFI Network Timeout 발생하는 경우 시간을 조금 기다려보면 아래와 같은 Boot Manager 화면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EFI VMware Virtual SATA CDROM Drive (1.0)' 을 선택하면 정상적으로 윈도우가 설치 된다.

상단의 Enforce US keyboard Layout 클릭하면 문제 해결 적용 전 : Enforce US Keyboard Layout / View Fullscreen / Send Ctrl+Alt+Delete 적용 후 : Stop Enforcing US Keyboard Layout / View Fullscreen / Send Ctrl+Alt+Delete
20 : SSH Server(vSphere Client)53 : DNS Client80 : vCenter Server가 HTTP에 연결을 위해 사용, 포트 443으로 redirect, 포트 80은 SQL Reporting Service에서 사용 IIS(Microsoft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에서도 포트 80 사용389 : local and all remote instances에 열려 있어야 함. vCenter Server 그룹의 디렉토리 서비스에 대한 LDAP 포트 번호636 : SSL 포트443 : vSphere Client 와 연결으 위해서는 열어야 함. SDK Client로 부터 데이터 전송 관리를 위해 사용902 : 관리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는 기본 포..

리눅스 ISO 더블클릭하여 .discinfo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보면 Linux의 버전 확인이 가능하다.

*리눅스를 설치하고 기본적으로 SSH 포트가 열려있고, root 직접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하다 1. 직접 접속용 일반 계정 만들기1) 계정 생성# useradd [계정명] 2) 계정의 암호 설정# passwd [계정명] 2. SSH 파일 수정1) 'PermitRootLogin yes'를 찾아 'PermitRootLogin no' 로 변경 하고 주석을 지운다.# vi /etc/ssh/sshd_config 3. SSH 서비스 재시작# service sshd restartor# systemctl restart sshd

*우분투는 설치 시 ssh 나 GUI에서 root 로그인 접속이 제한되어 있다. 1. 패스워드 설정 통한 root 계정 활성화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터미널 접속 후 sudo 권한으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2. SSH 설치#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3. SSH root 접속허가 설정sshd_config 진입하여 root 계정 로그인 옵션(PermitRootLogin) 을 접속차단(prohibit-password) 에서 허가(yes) 변경 # vi /etc/ssh/sshd_config 4. SSH 서비스 재 시작# sudo service ssh restartor# /etc/..

1. inet 장치의 hostname을 ODM에 영구히 적용inet0 디바이스의 hostname을 영구적으로 변경# chdev -l inet0 -a hostname=신규호스트명or# smitty hostname 2. uname 변경uname process를 변경하는 노드의 이름을 변경uname의 hostname을 변경# uname -S 신규호스트명or# /etc/rc.net 실행hostname을 변경하더라도 uname의 결과값은 바뀌지 않는다. 이는 /etc/rc.net에서 uname -S 가 실행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서 해주는 작업이다. 각종 라이센스류의 결과값은 이 uname의 결과를 따른다. 3. 현 기동 시스템 hostname 변경현재 운영값만 변경현재 동작하고 있는 시스템의 hostnam..

* 3번 작업까지만 이행해서 정상적으로 돌아왔는데 안된다면 8번까지 시도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winsock 연결 재설정netsh winsock reset 3. DNS 재설정ipconfig /flushdns 4. TCP/IP 재설정netsh int ip reset 5. ipconfig /release 6. ipconfig /renew 7. ipconfig /flushdns 8. pc 재부팅

어느날 갑자기 PC로 부팅하는데 드라이브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나타났다.BitLocker가 걸려져 있어 나타나는 현상인데 해제만 하면 된다.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BitLocker 해제ex) manage-bde -off 드라이브:# manage-bde -odff c: 3.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구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BitLock 설정한 후 해제를 해본다. 실행하고 난 후 5분 정도 경과를 지켜본다.manage-bde -on c:manage-bde -off c:

▶ Ubuntu 22.04 / 20.04 동일1. ifconfig 명령어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이름 확인# ifconfig or ip addr 2. root 권한 부여 후 network 설정에 진입# sudo su# vi /etc/netplan/01-netcfg.yaml 3. 다음과 같이 yaml 수정하는데 둘 다 가능하다. (renderer, dhcp4 제외가능) 5. 설정 후 반영되었는지 확인# sudo netplan apply# ip route 6. network 사용 명령어 사용하여 정상 동작 여부 확인# nslookup google.com ▶ Ubuntu 18.041. 인터페이스 파일 오픈# vi /etc/network/interfaces 2. dhcp (자동) 설정 3. sta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