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4 (17)
2swan

*우분투는 설치 시 ssh 나 GUI에서 root 로그인 접속이 제한되어 있다. 1. 패스워드 설정 통한 root 계정 활성화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터미널 접속 후 sudo 권한으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2. SSH 설치#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3. SSH root 접속허가 설정sshd_config 진입하여 root 계정 로그인 옵션(PermitRootLogin) 을 접속차단(prohibit-password) 에서 허가(yes) 변경 # vi /etc/ssh/sshd_config 4. SSH 서비스 재 시작# sudo service ssh restartor# /etc/..

1. inet 장치의 hostname을 ODM에 영구히 적용inet0 디바이스의 hostname을 영구적으로 변경# chdev -l inet0 -a hostname=신규호스트명or# smitty hostname 2. uname 변경uname process를 변경하는 노드의 이름을 변경uname의 hostname을 변경# uname -S 신규호스트명or# /etc/rc.net 실행hostname을 변경하더라도 uname의 결과값은 바뀌지 않는다. 이는 /etc/rc.net에서 uname -S 가 실행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서 해주는 작업이다. 각종 라이센스류의 결과값은 이 uname의 결과를 따른다. 3. 현 기동 시스템 hostname 변경현재 운영값만 변경현재 동작하고 있는 시스템의 hostnam..

* 3번 작업까지만 이행해서 정상적으로 돌아왔는데 안된다면 8번까지 시도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winsock 연결 재설정netsh winsock reset 3. DNS 재설정ipconfig /flushdns 4. TCP/IP 재설정netsh int ip reset 5. ipconfig /release 6. ipconfig /renew 7. ipconfig /flushdns 8. pc 재부팅

어느날 갑자기 PC로 부팅하는데 드라이브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나타났다.BitLocker가 걸려져 있어 나타나는 현상인데 해제만 하면 된다. 1. CM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BitLocker 해제ex) manage-bde -off 드라이브:# manage-bde -odff c: 3.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구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BitLock 설정한 후 해제를 해본다. 실행하고 난 후 5분 정도 경과를 지켜본다.manage-bde -on c:manage-bde -off c:

▶ Ubuntu 22.04 / 20.04 동일1. ifconfig 명령어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이름 확인# ifconfig or ip addr 2. root 권한 부여 후 network 설정에 진입# sudo su# vi /etc/netplan/01-netcfg.yaml 3. 다음과 같이 yaml 수정하는데 둘 다 가능하다. (renderer, dhcp4 제외가능) 5. 설정 후 반영되었는지 확인# sudo netplan apply# ip route 6. network 사용 명령어 사용하여 정상 동작 여부 확인# nslookup google.com ▶ Ubuntu 18.041. 인터페이스 파일 오픈# vi /etc/network/interfaces 2. dhcp (자동) 설정 3. stati..

개인 일반 계정(aixleesh)의 패스워드를 12345로 변경한다고 가정할 때 예시# echo aixleesh:1234 | chpasswd cat /etc/security/lastlog 의 해당 계정 검색 시 계정의 lock이 되었을 시, 패스워드 초기화를 통해 다시 접속 할 수 있게하는 명령어 및 옵션이다."unsuccessful_login_count=0" 해당 속성값이 0이 아니고, default로 패스워드 틀린 횟수가 5회 이상 넘어갈 경우 계정이 잠기므로 0으로 바꿔줘야 한다. # chsec -f /etc/securify/lastlog -a "unsuccessful_login_count=0" -s aixleesh

비밀번호를 별다른 조건 없이 강제로 변경이 방법은 root로 접근해야 한다. # passwd --stdin 계정명# echo '비밀번호' | passwd --stdin 계정명 리눅스 user 생성 후 비밀번호를 복합성 체계에 맞게만 설정해야할 때 단순하게 강제로 비번 변경-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자기 비밀번호를 바꾼다면# echo -e '현재비번\n새비번\n새비번' | passwd - root 또는 sudo가 다른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바꾼다면# echo -e '새비번\n새비번' | sudo passwd 사용자명 # useradd test# echo -e 'abc123\nabc123' | passwd test

설치 가능한 Telnet 패키지 목록 확인# yum list telnet* 텔넷 서버 설치# yum -y install telnet-server# yum install telnet* (telnet 클라이언트, telnet-server 둘다 설치) 설치 확인# rpm -qa telnet-server | nl# rpm -qa | grep telnet* 포트를 오픈하기 위해 telnet의 포트번호가 무엇인지 확인# vi /etc/services systemctl 명령으로 데몬 활성화#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텔넷 접속을 위해 사용자 생성 후 일단 포트를 오픈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인으로 텔넷 되는지 확인# adduser te..
링크 :https://www.onlinedoctranslator.com/ko/

현재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 확인# lssrc -a# lssrc -a | grep -i sendmail 서비스 중지# stopsrc -s sendmail 정상적으로 중지 되었는지 확인# lssrc -a | grep -i sendmail 서비스 시작# startsrc -s sendmail Telnet# lssrc -a | grep -i inet# lssrc -ls inetd ftp나 telnet를 정지 하고자 한다면 /etc/inetd.conf 에서 해당 데몬을 찾아 주석 처리# vi /etc/inetd.conf 변경된 사항으로 적용# refresh -s inetd 확인# lssrc -ls inetd | grep -i telnet

도메인 네임을 통해서 Ping이 안되는 경우 DNS 설정 되어 있는지 확인 1. root 계정으로 tcpip 명령어 실행# smitty tcpip 2. Further Configuration 선택 3. Name Resolution 선택 4. Domain Nameserver (/etc/resolv.conf) 선택 5. Add a Nameserver 선택 5. DNS 서버 ip 입력 (일반적으로 8.8.8.8 입력하면 됨) 6. 설정 확인# cat /etc/resolv.con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