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3)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7OhDb/btsH6ij0jc9/He25nwazW8olUPz0MUzDNK/img.png)
1. 해당 IP 및 세션 조회# who 2. ps 명령어로 해당 세션의 pid 조회# ps -ef | grep pts/1 3. 해당 프로세스 강제 종료# kill -9 4587682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FdXz/btsH43OVRAZ/loGk2AqS2g3euG8ioK0hH0/img.png)
# iostat -F /파일시스템 : -F 파일시스템 모니터링 옵션ex) iostat -F /opt tm_act : 장치가 활성화 된 시간의 백분율Kbps : 초 당 KB 단위의 데이터 전송 량 (Read/Write)tps : 초당 전송 횟수Kb_read : 전체 Read 수Kb_wrtn : 전체 Write 수 # iostat -F /파일시스템 3 : 3초 간격으로 모니터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lHKN/btsH6hrve9x/U75IPHtIJJwvGWr17mEAuk/img.png)
# cat /dev/null > /var/spool/mail/계정이름 : 사용자에게 도착한 이메일이나 시스템 메일이 보관되는 파일 # cat /dev/null > /var/adm/wtmp :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의 로그인 정보가 기록되는 파일 # cat /dev/null > /var/hacmp/log/hacmp.out.1-5 : HACMP 클러스터의 로그 파일 # cat /dev/null > /var/hacmp/adm/cluster.log : HACMP 클러스터의 다른 로그 파일 중 하나 # cat /dev/null > /tmp/hacmp.out.1-5 : 동일하게 HACMP 클러스터의 로그 파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WkgE/btsH4oelsrm/Uf2TURteCGp8wY70PINUm0/img.png)
1. errpt 명령어를 사용하여 SAS ERROR 발생 하였는지 확인# errpt 2. 정상적인 경우 Operational, 불량의 경우 Path가 Failed로 표시 됨How 1)# sissasraidmgr -Tl sissas0 How 2)# smitty sasdam> Diagnostics and Recovery Options>> Show SAS Contoller Physical Resources>>> Show Fabric Path Graphical Viewor# smitty sas_show_controller_men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0eCj/btsH2ra4LFC/s8F0FW40And4WSjrC7SrH0/img.png)
▶ odmdelete 명령으로 device 삭제 1. 원복을 대비해 기존의 odm 관련 파일을 백업 후, cp 명령이나 tar 명령어 등으로 백업받아 별도의 경로에 저장 odm 관련 디렉토리 경로 : /etc/objrepos How 1) cp -p /etc/objrepos/* /tmp/odmbackup/How 2) tar cvfp /tmp/odm.tar /etc/objrepos 2. odm 관련 디렉토리 경로 export# export ODMDIR=/etc/objrepos 3. device를 odmdelete 명령으로 삭제# odmdelete -q name=DEVICE_NAME -o CuAt# odmdelete -q name=DEVICE_NAME -o CuDv# odmdelete -q name=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z2rU/btsH4pvJi08/ixDuODtOAPg984xBBobsp0/img.png)
# cp -hpR /source/. /TARGET/-h : 심볼릭 링크파일 복사- p : 파일 권한 복사- R : 하위 디렉토리 복사- /source : 복사대상- /target : /source가 복사될 위치 /source 뒤에 /. 붙어야 하고/source/* 로 입력하면 숨김파일 등이 복사되지 않는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hLdO/btsH2OQ0CkX/lNJapsMWGkjHg22zoNC85K/img.png)
How 1)# lqueryvg -AtP -p hdisk0 | grep Type VG Type : 0 → Normal VG Type : 1 → Big VG Type : 2 → Scalable How 2)# lsvg rootvg | grep 'MAX PVs' MAX PVs : 32 → Normal MAX PVs : 128 → Big MAX PVs : 1024 → Scalab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NzMi/btsH1LHBBme/XfaFAgKT5bc74ZsMAkNT21/img.png)
▷현재 설치된 TL 목록과 누락된 TL 레벨 확인# instfix -i | grep ML ▷누락된 파일셋 확인# oslevel -rl XXXX-XX : TL 에서 누락된 파일셋 정보 확인 가능. Java5.sdk를 5.0.0.550 버전 이상으로 올리면, oslevel 명령을 통해 AIX 6.1 TL09 버전까지 출력 가능하다. ▷SP 누락된 파일셋 여부 확인# instfix -i | grep SP : Java6_64.sdk 버전으로 인해 서비스 팩 버전이 낮게 보이는 것을 확인. Actual Level 파일셋을 Service Pack Level 이상을 올리면 oslevel 명령으로 반영된 버전 확인 가능 ▷ 설치된 소프트웨어 확인# lslpp -l | grep -i java ▷ 설치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t2bP/btsH2nFK3WH/Z2QWpZ2yKKWo8DOFDSkob0/img.png)
mount된 디렉토리를 umount 하고자 할 때, 특정 사용자 & 프로세스가 해당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으면 'device is busy' 메세지가 발생하며 umount 되지 않는다 *조치방법1 :# fuser -cu /opt : 사용자 확인 # fuser -ck /opt : 해당 프로세스 강제 kill # umount /opt *조치방법2 :# umount -f /opt : 강제 umoun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z8Xi/btsH0v3BKn4/yqKdA815wDQUy6rMH5va2K/img.png)
# smitty security # Passwords # System Password Policy MIN Length : 최소 길이 8이상부터 가능MIN Alpha charachers : 최소 알파벳 수MIN Other charachers : 최소 알파벳이 아닌 문자 수MIN Digits : 최소 숫자 수MIN Special charachers : 최소 특수문자 수MAX Repeated characters : 한 문자가 중복되서 나올 수 있는 수MIN Different characters : 최소 다른 문자(상황에 맞게 설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PJ8a/btsHYt0F9Zp/xIINOOmAonfb2jAqlc093k/img.png)
Available : Device 사용 가능한 상태Defined : 시스템이 Device 정보는 가지고 있으나 사용 불가한 상태 ent0 예시로 Available → Defined# rmdev -l ent0 ent0 예시로 Defined → Available# rmdev -l ent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YTKa/btsHYoktvUu/lGuTQ4uuuYGEvtS6qGQZHk/img.png)
1. adapter 상태 확인# lsdev -Cc adapter 2. 교체 할 adapter의 location 및 fru number 확인# lscfg -vl fcs0 3. 시스템에서 교체 할 fcs0 제거# rmdev -Rdl fcs0 4. 같은 adapter에 있는 fcs도 제거# diag# Task Selection # Hot Plug Task # PCI Hot Plug Manager # Replace/Remove a PCI Hot Plug Adapter : 교체 할 adapter 선택※ Identift a PCI Hot Plug Slot을 선택 시 해당 슬롯에 location 불을 켜 확인 할 수 있다.프로시져에 맞춰 케이블을 제거하고 adapter 교체 5. 신규 설치된 PCI 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