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3)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515e/btsHyu7oApF/ok2pjum3lL6H3JckUaOXwK/img.png)
작업 중 ‘modification to restricted tunable maxclient%, confirmation required yes/no’ 문구가 나오면 yes 입력하여 변경전체 실메모리 중 FileCache는 최대 15%까지만 사용 가능하게 함 메모리 튜닝값중 filecache 최대 메모리 사용률 조정# vmo –p –o minperm%=5# vmo -p –o maxclient%=15# vmo -p -o maxperm%=15# vmo -p -o minfree=960# vmo -p -o maxfree=1088# vmo -r -o minperm%=5# vmo -r -o maxclient%=15# vmo -r -o maxperm%=15# vmo -r -o minfree=960# vmo -r -o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A4Qy/btsHzvjWFGa/CoarKZ8kiaB4XBtsY0ROz0/img.png)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편집기에 진입 후 하단에 host = local, bind를 추가한다(hosts를 호출할 때 local(/etc/hosts), bind(/etc/resolv.conf) 순으로 쿼리하라는 설정# vi /etc/netsvc.conf# refresh -s inetd : inetd 서비스를 다시 시작하여 /etc/inetd.conf 파일에서 변경된 내용을 적용 - 기본적으로 AIX는 host를 검색할 때 /etc/resolv.conf 내의 dns 서버를 우선 참조하고, 그 이후 /etc/hosts에 저장된 목록을 참조하지만 /etc/netsvc.conf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w4FZ/btsHAic5vSy/7cwiavZc7B8K2GdaTIYDg0/img.png)
1. 파일 크기 제한, 최대 프로세스 수, 가용한 가상 메모리 양 및 기타 리소스 제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ulimit -a 2. vi 편집기로 해당 파일에 접근# vi /etc/security/limits 3. default setting 값 찾아서 아래와 같이 수정 default: fsize = -1 core = 2097151 : 값 변경X cpu = -1 data = -1 rss = -1 stack_hard = -1 nofiles =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tDDN/btsHAr1UTNd/IjAOMpzqTb4v8oxZESNFKK/img.png)
1 . 시스템 시간 변경# chtz “KORST-9”# cat /etc/environment | grep –i tz 또 다른 방법은 # smitty chtz_date> Change Time Zone Using User Inputted Values> Standard Time ID(only alphabets) : KORST> Standard Time Offset from CUT : -9 2. 변경된 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 재부팅# shutdown –r 3. echo $TZ 명령어를 통해서 변경된 사항 확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pAsB/btsHAehpNqN/96AqDAacVKvUitE8ahxm70/img.png)
기본 파일 시스템 용량 조정# chfs -a size=+1G /# chfs -a size=+5G /usr# chfs -a size=+1G /var# chfs -a size=+1G /tmp# chfs -a size=+1G /opt : 1GB 추가# chfs -a size=1G /opt : 1GB로 변경 ▶ smitty 방법1. 마운트되어 있는 파일시스템 확인# df -gt 2. 사용가능한 여유 공간을 확인 FREE PPs# lsvg rootvg 3. 아래 절차대로 진행# smitty chfs 4. 최종 확인# df -g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sonv/btsHyQbiuZU/YdrH58INn1twduY4GMmVNk/img.png)
I/O 모니터링을 위한 추적 가능 설정# chdev -l sys0 -a iostat=true# lsattr -El sys0 | grep iosta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fzPZ/btsHy8oVuvr/6xpIXnmp7LWHvk86uvGLU0/img.png)
유저 당 최대 프로세스 수# chdev -l sys0 -a maxuproc=4096# lssattr -El sys0 | grep maxupro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sCyf/btsHzGyJU3P/zlWZFtrk4ikJa6nlOixZQ1/img.png)
버퍼 캐시 수 조정# chdev -l sys0 -a maxbuf=512# lsattr -El sys0 | grep maxbuf - sys0은 시스템 장치를 의미 - 최대 버퍼 크기 512 설정, maxbuf를 필터링하여 해당 속성 표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6hI1/btsHyPXH47c/qvARU856jWJAdAzznZkTb1/img.png)
$HOME/.profile 추가해주고 DTSOURCEPROFILE=true 주석을 제거해준다.# vi /.dtprofile - dtprofile은 CDE 사용자 환경 설정 파일 중 하나이며, AIX 시스템에서 GUI 기반의 데스크톱 환경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된 환경이다. - $HOME/.profile은 사용자의 쉘 환경 설정 파일이며, 일반적으로 로그인할 때 실행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9oOi/btsHAneiXFC/7TJqUrMrmTSfvevJoUMwn1/img.png)
※ 설치할 번들 목록들- AllDevicesKernels : 모든 장치의 커널 설치- Alt_Disk_Install : 디스크 복사- App-Dev - CDE- Graphics : 해상도 패키지- PerTools : Topas 지원- Server : 서버 관련 파일 묶음 1. Bundle 접속 화면# smitty install_bundle 2. ESC + 4 입력하여 List에 진입 3. 2번에서 Enter 누르면 Bundle 목록 표시 4. license 항목을 반드시 'yes'로 변경- ESC + 4로 진입 5. 4번 작업에서 변경 후 Enter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Enter를 한 번 더 눌러서 설치를 해준다. 6. Command : OK (완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qhZu/btsHyTZjkEa/UUHD6eKVbD798I9KXl38V0/img.png)
※ 설치를 준비하기 전 CD1, CD2를 준비한다(DVD의 경우 한장에 통합되어 있지만, CD의 경우는 각 국마다 다른 CD에 포함되어 있다.) ▶ 언어팩 설치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언어팩 확인# locale 2. 현재 설치되어 있는 언어팩 확인# locale -a 3. OS CD를 넣고 smitty lang으로 접근 'Add Addtional ~ 선택# smitty lang 4. ESC +4 입력하여 진입 5. '/' 입력하여 korea 작성한 뒤 Enter 6. 아래와 같은 항목이 나오면 ko_KR 선택 후 Enter 7. CD를 넣지 않았으면 CD1, CD2 순차적으로 삽입하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이전에 OS CD(CD1)을 넣었기 때문에 설치가 되면 CD2 삽입하라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gYZB/btsIVlUXIrO/4zbW1o76GmYeVbm6Uxeg91/img.png)
FTP(File Transfer Protocol)-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 원격 host로 파일을 송수신하는 protocol (id, pw로 원격 host에 접속)- Client-Server model (내 PC에 Client, 호스트 Server가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FTP Server의 포트번호 21- 익명으로 엑세스 할 수 있는 FTP도 존재- FTP 서버에 접속할 때 입력하는 사용자 계정 및 암호 등의 정보나 파일 전송 명령 및 결과 등은 데이터 제어용 연결에서, 이후 실제 파일 송수신 작업은 데이터 전송 연결에서 처리된다.- FTP Client 프로그램은 여러 파일을 연속으로 송수신해야 하기에, Server와의 지속적인 응답 메시지 전송을 통해 연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