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3)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YWNZ/btsIj4FCEjZ/RyDpQScqacL54okZ5YFqk1/img.png)
▶ 현재 설치되어 있는 JAVA 버전 리스트 출력# lslpp -l | grep -i java ▶ java -version 명령어를 수행했을 경우 명령어 호출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 java -version ▶ 절대 경로에서 호출하기 위해 자바가 설치되어 있는 경로를 복사# cd usr/java8/jre/bin# java -version ▶ 복사한 경로를 .profile에 등록# vi /.profile(명령프롬프트 모양 변경을 위해 직접 입력해도 되지만 /etc/security/.profile 복사해서 .profile 수정해도 된다# cp /etc/security/.profile /.profile : /etc/security/.profile을 /.profile로 복사)PS1 : 프롬프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8vcY4/btsIkq8RYZc/kWkFA6ZSf6LP2f2LksCNp0/img.png)
링크 : https://www.ibm.com/support/pages/java-sdk/ 1. 자바 설치# tar -xvf Java8_64.sdk.tar# tar -xvf Java8_64.msg.tar : 한국어 Message를 지원하기 위한 # installp -a -Y -d '.' Java8_64.sdk- a : 설치 작업을 수행- Y : 라이센스 동의- d : 패키지를 설치할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 보기에서는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 JDK 지우고자 할 경우 -a 옵션 대신 -u 사용 [ smitty 방법으로 해보기]현재 경로에서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 inutoc . 파일 생성# tar -xvf Java8_64.jre.tar# tar -xvf Java8_64.sdk.tar# inutoc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t6W6/btsIiPoiALe/udJFRPDt0F3vHXvM2sBdQ0/img.png)
▶ mirror disk 교체1. 모델 확인# uname -uM 2. 디스크 오류 확인# errpt# errpt -aj [오류코드] 3. 디스크 포맷 형식 확인 (pdisk인지 JBOD인지)# lsdev -Cc disk- Availabel : 현재 사용 가능한 상태- defined : ODM에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나 하드웨어적으로 이상이 있거나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 RAID로 되어 있으면 pdisk 포맷 형식, SAS Disk로 되어 있으면 JBOD 포맷 형식 diag 확인 방법# diag> Task Selection>> RAID Array Manager>>> IBM SAS Disk Array Manager>>>> List SAS Disk Array Configrati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h91/btsIhiiZrVr/ECtvdJhhkA00gtcpaBdsd1/img.png)
▷ 로그인 시 배너의 화면들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etc/motd에 login 시도시 출력되는 메세지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여기는 출력물이 텍스트로만 인식되기 때문에 shell을 실행 시킬 수 없다.# cat /etc/motd ▷ banner 폴더 생성후 시스템상에서 출력 해주고 싶은 내용들을 systembanner라는 파일로 ksh을 통해 작성해주고 저장# mkdir banner# cd banner# vi systembanner> #!/bin/ksh(banner "COMPANY"; \print "Date: %s\nLocale: %s\nUptime: %s\nUser: %s\nAIX: %s\nHW: %s\nHostname: %s\n" \"$(date)" "$(local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3sj7/btsIeidpsUb/8om0NthZisqAfM7YRyCrT0/img.png)
1. FileZilla 영문 사이트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type=client 2. FileZilla 한글 사이트이며 설치 메뉴얼이 나와있다.https://www.filezilla.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sca=%ED%81%B4%EB%9D%BC%EC%9D%B4%EC%96%B8%ED%8A%B8 파일질라 클라이언트 설치방법이 문서에서는 FileZilla FTP 및 SFTP 클라이언트의 설치에 대해 설명합니다.FileZilla는 세 가지 버전으로 제공됩니다. 초보 사용자가 쉽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는 설…www.filezilla.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crAH/btsIdgm7gER/1NVoOwJKyTZKKuPynE6vS1/img.png)
1. nmon 파일 생성# vi nmon.sh# nmon -tdf -s 60 -c 60 -m /nmonlogt : 가장 많은 부하를 주는 프로세스d : 디스크 정보f : file로 저장 -s : 정보 수집의 간격. 초단위(60초)-c : 정보 수집의 횟수(60번)-m :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 설명(/nmonlog 위치페 파일 저장)1분에 한 번씩 정보 수집. 60번이면 1시간 ※예시-s 300 -c 288 : 5분 간격으로 288번 정보 수집. 24시간)-s 60 -c 1440 : 1분 간격으로 1440번 정보 수집. 24시간) 2. nmon.sh 실행 권한 추가# chmod 700 nmon.sh 3. crontab에 등록# crontab -e# 0 9 * * * /nmon/nmon.sh >/dev/n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0gxj/btsKN4v1l6Z/PnF6OKlUdlHIR5yGH1HrB0/img.png)
○ Putty 영문판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81)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81, released on 2024-04-15. When new releases come out, this page will update to contain the latest, so this is a good page to bookmark or link to. Alternativelwww.chiark.greenend.org.uk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j7L8/btsH6ZYLMYP/IaYD6h3Y8fY2Rk0IwCaF2K/img.png)
패스워드 변경일반적인 방법# passwd root입력 후 변경하고자 하는 패스워드 두 번 입력 패스워드 입력 값 확인하면서 변경# echo root:1234 | chpasswdroot 계정의 비밀번호는 1234 패스워드 변경을 하였지만 재 접속 시 재차 변경을 요청할 경우# pwdadm -c root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etc/security/passwd 파일에 계정 설정 정보가 변경되고, flags = ADMCHG 라는 라인이 있는데 해당 설정 값이 들어가 있으면 비밀번호 재설정이 필요하다 ※ 참고로그인 실패 횟수 확인# lsuser -a unsuccessful_login_count test : test 계정 로그인 실패 횟수 확인 계정 잠금상태 확인# lsuser -a account_l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Laqja/btsH62t0502/jYt7ip7AzjxGZ7eBVt2cF0/img.png)
*물리적인 Total CPU : CPU x Core 수 ▶ CPU 칩 갯수와 CPU가 몇 Core로 이루어 졌는지 확인# lscfg -vp | grep WAY2 - WAY : CPU칩 당 Core 수2 - WAY PROC CUOD 나온 수 CPU칩 수2 X 2 = 4 (전체 Core 수) ▶ 전체 CPU 수 확인# lparstat -i | grep Physical활성화된 CPU는 4Core최대로 확장할 수 있는 CPU는 16Cor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8Od7/btsH6MEXvRv/NiMFXDtTAdsyOuJxs5H1w0/img.png)
# topas Real, MB : 해당 서버에 할당된 리얼 메모리 (가상 메모리 X)% Comp : 서버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사용률 (메모리 현재 사용률)% Noncomp : 파일 캐시 영역% Client : NFS, JFS2 등의 사용영역 *PAGING SPACE의 Used가 100%에 근접한다면 예기치 못한 ha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메모리 사용량 추이 등을 검토한 뒤 지속적으로 부족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메모리 증설이나 페이징 스페이스 증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