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2)
2swa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Jm5K/btsJ7seeMto/IwsbyPPNrptpUwDxfKJam0/img.png)
P750 ( MT : 8233-E8B )※ 해결 방안1. 서버 종료 및 분리 : 서버를 정상적으로 종료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여 전원 케이블 분리 2. 서버 케이스 열기 : 서버의 측면 또는 전면 패널을 제거하여 내부 접근 3. 기존 fan 제거 4. 새 fan 장착 5. 서버 재조립 : 케이스를 조립 후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서버의 전원을 켜준다. 해당 모델명 locations, system part를 검색하여 참고IBM Locations : https://www.ibm.com/docs/en/power7/8408-E8D?topic=e8c-8233-e8b-8236-locations IBM System Part : https://www.ibm.com/docs/en/power7?topic=parts-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cUP2/btsJ8OUv7QQ/vzZNhjoHBlCnZZVsAtI4P0/img.jpg)
1. 해당 링크에 접속해 확인할 수 있음https://sort.veritas.com/eosl SORT Enterprise Product End of Support Life (EOSL) Information | Verita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1sUa/btsJ6SRlClA/DocxKyeYIXSb2kBdOkKs31/img.png)
RAID 확인 (5번 작업에서 확인이 가능하다)1.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2. diskpart 3. list disk 4. select disk 0 5. detail disk (유형에 RAID라고 표기가 되어 있을 것이다) 6. list part 7. select part 1 8. detail part 9. detail volume Diskpart 활용 예시디스크 초기화 및 포맷1) diskpart 실행 2) 디스크 목록 확인 : list disk 3) 특정 디스크 선택 : select disk 1 4) 디스크 정리 : clean 5) 기본 파티션 생성 : create partition primary 6) 파티션 포맷 : format fs=ntfs quick 7) 드라이브 문자 할당 : as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wWVc/btsJ5eTMhEm/qcOXIpUlHKnUgAOsuZ1780/img.png)
Bash는 다섯개의 공통된 성질을 갖는다1. /etc/profile 2. /etc/bashrc 3. ~/.bash_profile- 환경 변수화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 전역적인 설정 파일인 /etc/profile이 수행된다음 바로 수행- 모든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etc/profile과는 달리, ~/bash_profile는 오직 bash를 실행하는 그 사용자에게만 영향을 준다 4. ~/.bashrc- bash가 실행될때마다 수행되고, .bash_profile은 bash가 처음 login 할때 수행 됨cf) source 명령어는 script 파일을 수정한 후에 수정한 값을 바로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 5. ~/.bash_logout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ofVA/btsJ35wA9bC/Spfb2Nivzp4iyiDKFlbcM0/img.png)
swp 파일vi 에디터 또는 vim 에디터에서 생성하는 파일이며 강제 종료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을 대비하여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을 swp 파일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미 작업 중인 파일을 새로운 에디터에서 open 할 경우, 경고 메세지를 날려 중복 작업을 방지해주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파일 수정 이후 정상적으로 저장되고 종료되면 swp 파일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swp 파일이 생성되는 경우파일 수정 후 저장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종료할 경우, 예를 들어 터미널을 강제로 닫는 경우 swp 파일이 생성된다. abc.txt 파일을 vi 에디터로 작업하던 중 터미널을 강제로 종료하게 되면 swp, swo, swn, swm, swl 같은 파일이 숨김 파일 형태로 생성된다 swp 파일 삭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GklB/btsJ1MKbiGD/FtLXHZka0dsReV9Kb9Cewk/img.png)
Linux에서는 copy -a 옵션으로 파일의 metadata까지 복사가 가능하다 1. 파일의 Metadata파일의 metadata란파일의 권한, 소유자 정보, MAC time 등의 상세 정보 MAC timeM : Modification time 수정 시간A : Access time 접근 시간C : Change time (속성, 권한)변경 시간 stat [파일 이름] 으로 확인 가능metadata에서의 시간은 마지막으로 수정한 시간이며, 모든 파일에는 inode 번호라는 데이터가 존재한다 inode numberLinux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고유한 번호로 data의 위치를 가리킨다ls -il로 inode 확인 할 수 있다 LinkLinux에서는 파일 자체를 복사하지 않고도 링크를 걸어 파일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93WX/btsJ2n3TnCj/w0t8geP9VNuuKSWOapBo7k/img.png)
명령 모드esc로 명령 모드 진입line 표시:se nu 행 번호 표시:se nonu 행 번호 표시 해제줄 단위 이동gg : 파일의 가장첫 줄로 이동G 파일의 가장 마지막 줄로 이동100G : 100번째 줄로 이동줄 단위 복사yy : 커서가 위치한 해당 줄 복사5 yy : 다섯 개의 줄 복사붙여넣기p삭제dd : 커서가 위치한 해당 줄 삭제3 dd : 세 개의 줄 삭제모든 작업 취소u:q! : 편집기에서 빠져나가기검색:/Network : 파일에서 Network 문자열 검색n : 누르면 아래로 검색 결과를 보여 준다N : 누르면 위로 검색 결과를 보여 준다커서 이동방향키 or ajkl리눅스 종류에 따라 방향키 입력이 불가능한 경우 존재저장:wq! 편집내용 저장 후 빠져나가기명령어 실행:![명령어] : 편집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qqMe/btsJ1IAlFzG/D0uyNuTsQ69JdPuYjb3iOk/img.png)
- 리눅스 OS 설치 시 모든 시스템 명령어는 /bin 또는 /usr/bin 경로에 있다.- 명령어 실행 시 바로 실행 가능한 이유는 절대경로 $PATH 가 잡혀 있기 때문이다. PATH 경로가 잡혀 있지 않으면 /bin/ls 또는 /usr/bin/ls 이런식으로 명령어가 있는 경로를 모두 입력을 해야한다. 그래서 메인 환경변수(/etc/profile) 파일에 이미 지정되어 있다. 경로 이동ls (list)디렉토리의 내용 출력# ls [options] [디렉토리 지정]-a : 숨김 파일과 디렉토리 출력-l : 파일과 디렉토리의 Metadata(속성) 출력-h : 파일과 디렉토리의 용량을 가독성 있게 출력(1KB=1024MB)-i : 파일과 디렉토리의 inode number 출력-R : 하위 디렉토리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u1zd/btsJ0cvrjfd/fDCuPGdKLVPIJcvtENa440/img.jpg)
인터넷인터넷과 웹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인터넷이 다양한 웹을 아우르는 상위개념이라 볼 수 있는데, (인터넷이 도로이면 웹은 건물이다) 웹은 전자 메일과 같이 인터넷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서비스이고 인터넷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인터넷이 작동하는 방식은 두 대의 컴퓨터 Web Browser / Web Server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WiFi로 연결된 경우 MAC 주소를 사용하여 찾아가고, 이더넷을 사용하는 경우 주소를 사용하듯 네트워크 상에는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주소를 활용하므로 통합된 하나의 주소를 사용하려고 만든 것이 IP 주소이다 서버 / 클라이언트정보를 제공해주는 쪽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yHbD/btsJYDNh8OD/lu4ttZt3FfKP6IfaAUwAH1/img.png)
1. A39F8A49 에러 코드로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발생 중이면 errlog가 많이 쌓여 있어서 메모리 버퍼를 늘려주거나 errlog의 파일을 삭제 후 새로 생성을 해주는 방법이 있다# errpt 2. errdemon -l 명령어를 통해서 현재 Memory Buffer Size 32768 bytes 인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mory Buffer Size 값을 늘려보자# cd /usr/lib# errdemon -l 3. Memory Buffer Size 값을 늘려주자 'smitty' 입력 후 아래 순서대로 진행 후 Maximum LOGSIZE의 값을 두배 또는 더 큰 값으로 변경 4. errpt 로그가 쌓이는 파일을 삭제 한 뒤 err 데몬을 비활성화# cd /var/adm/ras# rm 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eNcG/btsJXtZbVWO/TcNb6JTJE76qlxLfzh3DC1/img.png)
1. Error Log 보기# errpt 2. Error Log 자세히 보기# errpt -a 3. 특정 Error Log 보기# errpt -aj (IDENTIFIER) 4. 에러메세지 대한 정보를 백업 해두기 위해서 /ptf 경로에 저장# errpt >> /ptf/errpt_backup.txt# ls -al | grep -i errpt_backup.txt 5. Error Log 부분 삭제# errpt# errclear -j (IDENTIFIER) 0 6. Error Log 전체 삭제(초기화)# errclear 0 7. Log 및 데몬 기동 부분 경로# /var/adm/ras/errlog #log 저장 경로# /usr/lib/errstop #errpt 데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