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73)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553HX/btsywwj2K8M/T2GThMKMMoaTzABO3CnsgK/img.jpg)
○ 제목, 평점, 예매율 Mysql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 작업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requests import pymysql # 제목 평점 예매율 dbURL = "127.0.0.1" dbPort = 3306 dbUser = "root" dbPass = "1234" conn = pymysql.connect(host=dbURL, port=dbPort, user=dbUser, passwd=dbPass, db='bigdb', charset='utf8', use_unicode=True) insert_sql = "insert into daum_movie(title, grade, reserve) values(%s, %s, %s)" req = requests.get('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4SVn/btsytKXC1uH/KZI9w6Oh8kfVkg4AyLGQj1/img.jpg)
다음 뉴스 크롤링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res = requests.get('https://media.daum.net/digital/') # print(res.content) soup = BeautifulSoup(res.content, 'html.parser') # print(soup) lint_title = soup.find_all('a', 'link_txt') # print(lint_title) for i in lint_title: print(i.get_text().strip()) 다음 뉴스 경제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re res = requests.get('http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KlPC/btsytwejr6z/lcqeemSyVXeL1skAlZAePk/img.jpg)
Example(1)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html = """ 스크레핑이란? 웹 페이지를 분석하는 것 원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것 """ soup = BeautifulSoup(html, 'html.parser') print(soup) h1 = soup.html.body.h1 print(h1) p = soup.html.body.p print(p) p1 = p.next_sibling.next_sibling print(p1) print("h1:", h1.string) print("p:", p.string) print("p1:", p1.string) Example(2)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html = """ 위키북스 도서 유니티 게임 이펙트 입문 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uzBPE/btsys9wC2Jv/dpjkhKtwGsrYLl1ykmrBn1/img.png)
✔ 원인 폴더 중 최상위 디렉토리에 이미 .git 파일이 생성 되었는데 해당 디렉토리에서도 push 진행하는 과정에서 .git 파일이 생겨서 오류가 나타남 ✔ 해결방법 1.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디렉토리에서 .git 파일을 제거 $ rm -rf .git 명령어로 해당 파일을 제거 2. 스테이지에 존재하는 파일 제거 $ git rm --cached. -rf 3. 과정 끝낸 후 push 진행 $ git add . $ git commit -m "remove .git file" $ git push origi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RkQm/btsys5ONVD2/KbrkCqIasnIEV0wdNX6D70/img.jpg)
App.js import './App.css'; import {BrowserRouter, Route, Routes} from "react-router-dom" import Navigation from './Navigation'; import Home from './components/Home'; import Contact from './components/Contact'; import Topics from './components/Topics'; import Login from './components/Login'; import Topics1 from './components/Topics1'; import LoginResult from './components/LoginResult'; import To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CmPg/btsyepSZtyS/T6AlEtLs3jy6oHM0kgvWi1/img.png)
1. git bash 에서 환경설정 하기 ▷ 유저이름 및 이메일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 Github가입시 사용한 이메일 작성 ▷ 정보 확인 $ git config --list 2. Github에 초기 코드 업로드 ▷ 초기화 $ git init ▷ 추가할 파일 스테이징 $ git add . ※ 선택해서 파일 올리고 싶으면 add 뒤에 파일 이름 ex) git add index.html ▷ 상태 확인 $ git status ▷ 히스토리 만들기 $ git commit -m "파일 추가" ▷ Github repository랑 나의 로컬 프로젝트 연결 $ git re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4Wfg/btsuGzsmHiY/sRzuwjUbUEKrk7xrWa3lB0/img.png)
@RequestMapping: ● Spring 개발 시 특정 URL로 요청(Request)을 보내면 Controller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할지 정의 ● @RequestMapping은 Controller단에서 사용되며, DitpatcherServlet이 Controller 파일을 찾고, 논리적 주소가 매핑된 Method를 찾기 위해서 @Controller와 @RequestMapping이 작성 되어야 한다. HTTP 메서드: ● GET : 서버의 리소스 조회 ● POST : 서버의 리소스 생성 ● PUT : 서버의 리소스 수정 ● DELETE : 서버의 리소스 삭제 ● PATCH : 서버의 리소스 일부 수정 @Rest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Request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MnZy/btsuJe1EL36/YBk6vmP0XHiXKeYpEZjJ2k/img.png)
Model: ● 데이터를 뷰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 ● 컨트롤러 메서드의 매개변수로 사용되며, 컨트롤러 내에서 데이터를 추가하고 뷰에 전달할 수 있다. ●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뷰 템플릿에서는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 ● Model을 사용하면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직접 추가하고 뷰로 전달할 수 있다. @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GetMapping("/insert") public String insert(Model model) { // 데이터를 Model에 추가 model.addAttribute("message", "Hello, World"); return "viewName"; // 뷰 이름 반환 } } @RequestM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4Ptz/btstVidJDmN/9ZZp0ji6rChMV4JoKM04G0/img.png)
Repository: 리포지터리는 엔티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접근하는 메서드들(ex: findAll, save 등)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테이블에 어떤 값을 넣거나 값을 조회하는 등의 CRUD가 필요하다. 이 때 이러한 CRUD를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하는 계층 public interface Question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 { } 처럼 리포지터리의 대상이 되는 엔티티의 타입(Question)과 해당 엔티티의 PK의 속성 타입(Integer)을 지정해야 한다. 이것은 JpaRepository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Question 엔티티의 PK(Primary Key) 속성인 id의 타입은 Integer 이다. @Aut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0vDA/btst0x1UGpi/o9Etkq5zpVWR5vELI4kfRK/img.png)
@Id: @Id 에너테이션은 id 속성을 기본 키로 지정한다. 기본 키로 지정하면 id 속성의 값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동일한 값으로 저장할 수 없다. @GeneratedValue: 데이터를 저장할 때 해당 속성에 값을 따로 세팅하지 않아도 1씩 자동으로 증가하여 저장된다. starategt 는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옵션으로 GenerationType.IDENTITY는 해당 컬럼만의 독립적인 시퀀스를 생성하여 번호를 증가시킬 때 사용한다. @Column: 컬럼의 세부 설정을 위해 @Column 애너테이션을 사용한다. length는 컬럼의 길이를 설정할때 사용하고 columnDefinition은 컬럼의 속성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 columnDefinition = "TEXT"은 글자 수를 제한할 수 없..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cpJwy/btstRttFg7e/P4wCHwbhGVeHVnBG8hvClK/img.png)
src/main/java: src/main/java 디렉터리의 com.example.book 패키지는 자바 파일을 작성하는 공간 BookApplication.java: 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며 프로젝트명 + Application.java 파일이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Book"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BookApplication.java 파일이 자동 생성된다. BookApplicatipn 클래스에는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이 적용되어 있어야 하며 스프링부트의 모든 설정이 관리된다. templates: 템플릿 파일을 저장하며 HTML 파일 형태로 자바 객체와 연동되는 파일이다. static: css, js, 이미지 파일(.jpg, .png) 등을 저장하는 공간이다.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OB72/btstRIYrvIY/qaNSFp9jQQgt1cfxUfTx71/img.png)
Spring Boot Devtools : 서버의 재시작 없이도 클래스 변경 시 서버가 자동으로 재기동 된다. 출력하는 문자열을 "Hello World"에서 "Hello"로 변경하고 URL을 호출하면 "Hello World" 문자열이 출력된다. 프로그램이 변경되더라도 로컬서버가 변경된 클래스를 리로딩하지 않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변경된 사항을 확인하려면 매번 서버를 재시작 해야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Spring Boot Devtools 사용하면 서버 재시작 없이 변경사항이 적용된다. Live Reload (크롬 확장프로그램) Spring Boot Devtools에 의해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URL을 다시 호출하거나 Refresh를 해야만 변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Live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