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Ubuntu (6)
2swan

*우분투는 설치 시 ssh 나 GUI에서 root 로그인 접속이 제한되어 있다. 1. 패스워드 설정 통한 root 계정 활성화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터미널 접속 후 sudo 권한으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do passwd root 2. SSH 설치#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3. SSH root 접속허가 설정sshd_config 진입하여 root 계정 로그인 옵션(PermitRootLogin) 을 접속차단(prohibit-password) 에서 허가(yes) 변경 # vi /etc/ssh/sshd_config 4. SSH 서비스 재 시작# sudo service ssh restartor# /etc/..

▶ Ubuntu 22.04 / 20.04 동일1. ifconfig 명령어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이름 확인# ifconfig or ip addr 2. root 권한 부여 후 network 설정에 진입# sudo su# vi /etc/netplan/01-netcfg.yaml 3. 다음과 같이 yaml 수정하는데 둘 다 가능하다. (renderer, dhcp4 제외가능) 5. 설정 후 반영되었는지 확인# sudo netplan apply# ip route 6. network 사용 명령어 사용하여 정상 동작 여부 확인# nslookup google.com ▶ Ubuntu 18.041. 인터페이스 파일 오픈# vi /etc/network/interfaces 2. dhcp (자동) 설정 3. stati..

▶Kernel 삭제하지 않고 원복 시키기1. grub 수정# sudo vi /etc/default/grubGRUB TIMEOUT STYLE_hidden 주석처리 (부팅 시 설치한 커널버전을 부팅 리스트에 나타내기 위해서) 2. update-grub 명령 실행 후 재부팅# sudo update-grub# reboot or shutdown -r now 3. 부팅하면 GNU GRUB 화면이 나타나는데 'Advanced options for Ubuntu' 선택 4. 이전 커널 버전인 'Ubuntu, with Liunux 4.15.0-76-generic' 선택 5. 커널 버전 확인# uname -r 6. 부팅할 때 마다 4.15. 0-76 버전이 나오게 하려면 추가적으로 수정이 필요한데 grub.cfg ..

OS 유형에 따라 패키지를 차례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1. 리눅스 헤더-4.19.0-xxxxxx_all.deb2. linux-headers-4.19.0-xxx-generic(/lowlatency)_xxx_amd64(/i386).deb3. linux-modules-4.19.0-xxx-generic(/lowlatency)_xxx_amd64(/i386).deb4. linux-image-xxx-4.19.0-xxx-generic(/lowlatency)_xxx_amd64(/i386).deb 일반 시스템의 경우 generic을 선택하고 지연 시간이 짧은 시스템(예: 오디오 녹음)의 경우 lowlatency를 선택하고 64비트 시스템의 경우 amd64를 선택한다. 1. 커널 업데이트*참조 링크 : https://ke..

▶ Ubuntu Server_18.04.41. 시스템 부팅 2. Shift 연타하여 GNU GRUB 화면 진입 3. *Ubuntu에 하얀색 바가 있는 상태로 알파벳 e 키를 누르게 되면 부트로더 화면에 진입하게 된다. 4. linux 로 시작하는 라인을 찾아 ro를 rw 수정 후 한칸 띄우고 init=/bin/bash 입력하고 ctrl + x 또는 F10 눌러 부팅1) ro → rw2) rw init=/bin/bash 5. root@(none):/# bash로 진입하면 passwd 명령어를 쳐서 패스워드 변경# passwd root 6.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나면 reboot -f 명령어 입력하여 재부팅# reboot -f 1. 혹여나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도 재설정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