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ystem of Infra (96)
2swa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FZi3/btsLFyb9EzT/XWD1LFBUOD0PKCVGveTDL0/img.png)
1. 부팅용 해당 윈도 iso 파일을 다운로드 2. 부팅- vm 환경에서 iso를 마운트 하거나 usb 꼽고 power on- bios에서 부팅 순서 설정 (iso 이미지를 삽입했으므로 cd-rom 으로 부팅 선택) 3. 파티션 나누는 화면에서 Shift+F10 누르면 된다.1) cd c:\2) cd Windows3) cd system324) move Utilman.exe Utilman.exe.bak : 실행 파일 백업5) copy cmd.exe Utilman.exe : 덮어쓰겠냐고 하면 'yes' 임시로 접근성 실행 파일로 변경6) shutdown -r -t 0 4. 로그온 화면에서 오른쪽 하단 접근성 클릭 5. cmd 창이 나타나면 다음과 같이 입력1) net user2) net user 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3LP3/btsLqPdx4Ah/55aGWWoldZvTdcdI1YOeC0/img.png)
▶터미널에서 고정 IP 설정IP, G/W, DNS 확인# ifconfig or ip addr# netstat -rn# cat /etc/resolv.conf 해당 경로를 진입하여 ls 명령어를 통해 ifcfg-??? 확인#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ls vi 에디터로 ifcfg-ens192# vi ifcfg-ens192BOOTPROTO=none : dhcp 면 ip 자동할당 이여서 static 으로 변경하여 고정 ip로 사용ONBOOT=yes : no 설정 되어 있으면 yes 변경한다. no로 되어 있으면 부팅 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다 설정이 완료된 후 네트워크를 재기동 하여야 정상적으로 설정이 적용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sDbZ/btsLFD5BQNp/iQjGKlPxyKb16AsTAkfph1/img.png)
1. 현재 설정된 인코딩 설정 확인# echo $LANG 2. 인코딩 설정 해제# unset LANG# LANG=C 3. 사용 가능한 인코딩 설정 확인# locale -a# locale -a | greap ko 4. /etc/sysconifg/i18n 파일 수정# cd /etc/sysconfig# vi i18n- #LANG="ko_KR.UTF-8"LANG="ko_KR.euc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ohy2O/btsLDVfmiuo/gaxAxVubTSK7AqVMRzMYQ1/img.png)
[ubuntu]1. 부팅 하기 전 shift를 연타해서 GNU GRUB으로 들어간다 2. 부트로더에 진입 하면 e를 눌러준다. 3. linux 로 시작하는 라인을 찾아 ro를 rw 변경하고, quiet ~ handoff 부분은 init=/bin/bash 로 바꿔준다. 그 후 ctrl + x 또는 F10 눌러 부팅 4. passwd 명령어를 이용하여 루트계정의 비밀번호 변경 5. reboot -f 혹여나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도 재설정 하고 싶다면 5번 사항을 이어가지말고1. passwd 사용자 계정 2. 사용자 계정이 기억나지 않을 경우 아래 명령어 통해서 확인# grep | /bin/bash /etc/passwd 3. 비밀번호 재설정이 완료되면 reboot -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HbYn/btsLENnzcNZ/opl2OL2Ddj2Z3hfIqS6nIk/img.png)
1. root 계정 로그인 2. passwd -d [user 계정] 해당 사용자로 로그인 시 비밀번호 재설정 하여야 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JQ7g/btsLlgQkfpy/BXFYA3WgkGTCb81pSSCDdK/img.jpg)
vCenter Servers ESXi 내부에 가상 머신의 형태로 설치되며 관리자가 웹페이지로 vCenter Clinet에 접속할 수 있다. 1. vcsa-ui-installer 선택 2. win32 선택 3. installer.exe 선택 4. Install 5. Next 6. 라이선스 동의 7. 외부 DB를 사용하지 않으면 내장 DB 사용- 내장형 Platform Services Controller(vCenter Server도 같이 설치)- 외부 Platform Services Controller(vCenter Server를 따로 설치하겠다) 8. 배포하려는 호스트 정보 입력- ESXi host 또는 vCenter Server 이름 : ESXi 호스트 IP or FQDN(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6eOm/btsK9xrsq44/ieEHOb0DF08JBjZXkLuBZK/img.png)
OS 버전 확인# cat /etc/redhat-release OS 버전 및 세부사항 확인# cat /etc/*release* # cat /etc/*release # cat /etc/*-release | uniq OS 버전 확인# rpm -qa | grep release 간락하게 OS 버전 및 정보 확인# cat /etc/issue 커널 정보 확인# cat /proc/version 커널 버전만 확인# uname -r 커널 정보 상세 확인# uname -a OS bit 확인# getconf LONG_B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0Idy/btsK8kkL66s/UM6IixSw4oMARO2AAkjNtK/img.png)
1. 호스트 네임 확인방법1)# hostname 방법2) # cat /etc/hostname 방법3) # hostnamectl 방법4) # nmcli general hostname# nmcli g hostname : 위의 명령어 줄인 것# nmcli g h : 더 간략하게 표현해서 줄인 것 2. 호스트 네임 변경방법1)# hostname test : 일시적 방법# hostname 방법2) # echo "test" > /etc/hostname : 영구적이며 재부팅 필요# hostname 방법3) # hostnamectl set-hostname test : 영구적이며 즉시 적용 가능# hostname 방법4) # nmcli general hostname test : 영구적이며 즉시 적용 가능# 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fzej/btsKWnKvd4b/rLqZhFPXzwJJBgseEMKtW1/img.jpg)
VMware Tools는 Guest OS에 설치를 하여 가상 환경에 최적화 시켜주는 유틸리티 모음 1. 가상머신을 만들면 바로 설치를 해야 하고 설치 직후 vm 재부팅 한다. 이 방법으로 설치가 되지 않는다면 https://www.broadcom.com/ 접속하여 vm tool을 다운받아 데이터스토어에 올리고 직접 마운트 해준다 2. 다운 받은 exe 파일을 실행하여 다음 클릭 3. 표준 설치 누르고 다음 4. 설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wbKg/btsKRFc41yA/3rKFSzQ1NxFgZ9nSyj05i1/img.png)
패스워드 변경 시 문자가 깨지는 현상 때문에 'LANG=en_US.UTF-8' 수정 ▶Bash 쉘(SH) 에 진입 하여 초기화1. 부팅 시 커널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커널이 자동으로 시작 되기 전 방향키를 멈춘후, 부트로더 스크립트를 수정할 수 있도록 e 를 누른다. 2. linux16 or linuxefi 로 시작하는 부분을 찾아 수정1) ro → rw2) rhgb quiet → init=/bin/bash 3) Ctrl + x 누르면, 쉘 모드로 접속 되며 bash-4.2# 으로 프롬프트 된다.4) export LANG=C : vm에서 한글이 깨지기 때문에 locale을 C로 변경 3. 비밀번호가 성공적으로 완료가 되면 아래의 방법 진행# touch /.autorelabel :부팅 시 파일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iPiG/btsKSH1Gf2e/siQZEtNxZDjcFak79zCcc0/img.jpg)
VMware 3가지 기본 네트워크VMnet0(Bridged) : 가상 머신이 호스트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와 자유롭게 통신가상 머신이 호스트 컴퓨터와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며, 가상 머신은 호스트 컴퓨터와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게 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자유롭게 통신 가능하다. 즉, 가상 머신은 물리적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비들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VMnet1(Host-only) : 가상 머신과 호스트만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폐쇄적인 네트워크가상 머신과 호스트 컴퓨터 간에만 통신할 수 있는 폐쇄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 머신은 호스트 컴퓨터와만 통신이 가능하며, 외부 네트워크와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 모드는 가상 머신끼리나 호스트 컴퓨터와의 안전한 통신을 원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