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IBM IMM Default ip 및 계정

2swan 2024. 9. 12. 17:30

IMM(Intregrated Management Module)은 원격 관리 솔루션이며, 서버 상태의 원격 모니터링과 운영체제 상태에 상관 없는 원격 시스템 구성과 관리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Default IP는 192.168.70.125이며, Default IP/PW는 USERID/PASSW0RD 이다

 

Default IP로 계속하여 접속이 안되는 경우, 간혹 IP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담당자에게 IP 주소를 확인한다

 

장비의 IMM 관리 포트와 노트북 연결 후 노트북 IP를 192.168.70.X 같은 대역으로 잡아준 후 IMM IP에 ping 통신이 되는지 확인한다. (192.168.70.100/24로 잡아주며, Gateway와 DNS는 건너뛴다.

(신형 장비들은 IMM 포트라고 적혀 있지만, 구형 장비는 System management라고 표기 되어 있다)

 

웹 페이지를 실행 후 IMM IP에 접속 후 로그인 하면 하드웨어 정보, 펌웨어 정보, 로그 등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하다.

(서버가 Power off된 상태에서도 IMM 연결이 가능하지만, 간혹 서버가 Power On이 되어야만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접속하여 no timeout으로 Next하면 확인 및 관리 메뉴가 나온다 (자동 로그아웃 x)

 

System Status 메뉴 옆에 느낌표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클릭하면 Warning event 목록이 나온다. (Failure Predicted ... 관련 event는 실 장애는 아니지만,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는 경고성 메세지)

 

Vitral Product Data 메뉴에서는 서버와 각 파트, 펌웨어, 부품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줄여서 VPD라 부름)

 

Event  Log 메뉴에서는 일반적인 하드웨어 로그들이 확인이 가능하다.

(장애 내용, 시간 등)

 

Firmware Update 메뉴에서는 펌웨어 파일을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업로드 하여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IMM은 주로 로그 확인(장애, 경고), 펌웨어 수동 업데이트, 시스템을 체크 및 점검할 때 사용한다.

 

펌웨어 업데이트는 IMM은 업데이트 완료 후 즉시 적용이 되지만, UEFI, DSA는 서버를 재기동해야 적용이 된다.

 

 

1. System Setup(F1)를 눌러 하드웨어 BIOS 진입 후 System Settings 선택

 

 

 

2. Intergrated Management Module 선택

 

 

 

3. Network Configuration 선택

 

 

 

4. System X IMM Default IP 주소는 Static IP로 고정되어 있다 : 192.168.70.125/24

DHCP 사용하고자 한다면 DHCP Control 에서 DHCP 활성화 시켜준다.

 

 

 

5. IMM Port IP를 확인하였고, 확인된 IP를 이용해 IMM 접속

PC(노트북)를 준비하고 확인된 하드웨어 IMM IP와 같은 대역대로 설정

 

 

 

6. IMM 접속

Default User name : USERID

Default Password : PASSW0RD

 

 

 

7. System Status, Event Log에서 Event ID / Message를 확인하고 오류 처리

 

 

Linux 서버 사용방법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XXXXXX

ONBOOT=no → Yes로 변경

 

# ifup enxXXXXXX

웹브라우저 : 169.254.95.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