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58)
2swan
1. root 계정으로 로그인 2. passwd -d [user 계정] : 해당 유저 로그인 하게 될 시 비밀번호 재설정 해야한다.
1. telnet# telnet IP PORT 2. curl : 간혹 telnet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보안상 telnet 명령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curl 사용한다.# curl -v telnet://IP:PORT/ 3. /dev/tcp : telnet, curl 사용이 어렵다면 쉘에서 제공하는 /dev/tcp 기능을 사용한다.# /dev/tcp/IP/PORT# echo $? : $?는 바로 직전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받아온다. (성공 : 0, 실패 : 1 ) Server에서 통신여부 확인netstat# netstat -an | grep PORTLISTEN : 연결을 기다리는 중ESTABLISHED : 연결 중TIME_WAIT : 연결이 끊어짐
▶Alias 등록으로 지속적으로 숨기기1. ~/.bashrc 파일 편집# vi ~/.bashrcAlias df='df -x tmpfs' 2. 현재 쉘에서 지정한 파일 실행# source ~/.bashrc
1. 파일 시스템 확인# df -Th 2. 현재 디바이스(디스크) 구성 확인# lsblk or lsblk -f 3. 디스크에 파티션 생성# fdisk /dev/sdb- p : 주 파티션- e : 확장 파티션- 'w' 저장 하기 전 'p'를 입력하여 파티션이 정상적으로 등록 되었는지 확인 4. partprobe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파티션 정보 인식# partprobe /deb/sdb 5. 변경된 디스크 구성 확인# lsblk 6. 생성한 파티션에 파일시스템 생성# mkfs.ext4 /dev/sdb1 7. 마운트 할 디렉터리 생성# mkdir -vp /test/testdisk 8. 디렉터리에 파일시스템 마운트# mount /dev/sdb1 /test/testdisk 9. 변경된 파일시스템 확인# df -T..
1. USB 연결 전 물리디스크 확인# fdisk -l 2. USB 연결 상태 확인# dmesg | tail : 시스템에서 인식하였는지# fdisk -l 3. USB 마운트 전 디렉토리 생성# mkdir -vp /mnt/usb : /mnt 하위에 usb 디렉토리를 만든다# chmod 755 /mnt/usb : 쓰기 권한 부여 4. 디렉토리 생성 후 USB 마운트 ( 디렉토리를 저장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mount /dev/sdb1 /mnt/usb# mount -t vfat /dev/sdb1 /mnt/usb 5. df -h 명령어로 /mnt/usb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df -Th 6. 외부저장매체의 test 파일을 /home 디렉토리 경로에 test1 이란 이름으로 복사# cp -r /m..
리눅스에서 큰용량의 로그 파일을 열고자 한다면 split 명령어로 로그 파일을 쪼갠다# split -b 1000m test.txt 100m : 100MB1000m : 1000MB
리눅스 종류 및 리눅스 버전 확인# grep . /etc/*-release CPU 코어 전체 갯수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HostName 확인# hostname Serial Number 확인# dmidecode | grep 'Serial Number' | head -1 메모리 용량 확인#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HDD 용량 또는 갯수 확인# fdisk -l | egrep 'Disk.*bytes' | awk '{ sub(/,/,""); sum +=$5;print $1" "$2" "$3" "$4" "$5" "$6 } END { print "total: " sum/1024/1024/1024 " GB" }' 서비스 모델 확인# dmi..
▶터미널에서 고정 IP 설정IP, G/W, DNS 확인# ifconfig or ip addr# netstat -rn# cat /etc/resolv.conf 해당 경로를 진입하여 ls 명령어를 통해 ifcfg-??? 확인#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ls vi 에디터로 ifcfg-ens192# vi ifcfg-ens192BOOTPROTO=none : dhcp 면 ip 자동할당 이여서 static 으로 변경하여 고정 ip로 사용ONBOOT=yes : no 설정 되어 있으면 yes 변경한다. no로 되어 있으면 부팅 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는다 설정이 완료된 후 네트워크를 재기동 하여야 정상적으로 설정이 적용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
1. 현재 설정된 인코딩 설정 확인# echo $LANG 2. 인코딩 설정 해제# unset LANG# LANG=C 3. 사용 가능한 인코딩 설정 확인# locale -a# locale -a | greap ko 4. /etc/sysconifg/i18n 파일 수정# cd /etc/sysconfig# vi i18n- #LANG="ko_KR.UTF-8"LANG="ko_KR.euckr"
▶ Ubuntu Server_18.04.41. 시스템 부팅 2. Shift 연타하여 GNU GRUB 화면 진입 3. *Ubuntu에 하얀색 바가 있는 상태로 알파벳 e 키를 누르게 되면 부트로더 화면에 진입하게 된다. 4. linux 로 시작하는 라인을 찾아 ro를 rw 수정 후 한칸 띄우고 init=/bin/bash 입력하고 ctrl + x 또는 F10 눌러 부팅1) ro → rw2) rw init=/bin/bash 5. root@(none):/# bash로 진입하면 passwd 명령어를 쳐서 패스워드 변경# passwd root 6.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나면 reboot -f 명령어 입력하여 재부팅# reboot -f 1. 혹여나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도 재설정 하고 ..
OS 버전 확인# cat /etc/redhat-release OS 버전 및 세부사항 확인# cat /etc/*release* # cat /etc/*release # cat /etc/*-release | uniq OS 버전 확인# rpm -qa | grep release 간락하게 OS 버전 및 정보 확인# cat /etc/issue 커널 정보 확인# cat /proc/version 커널 버전만 확인# uname -r 커널 정보 상세 확인# uname -a OS bit 확인# getconf LONG_BIT
▶ Hostname호스트 네임 확인방법1)# hostname 방법2) # cat /etc/hostname 방법3) # hostnamectl 방법4) # nmcli general hostname# nmcli g hostname : 위의 명령어 줄인 것# nmcli g h : 더 간략하게 표현해서 줄인 것 호스트 네임 변경방법1)# hostname test : 일시적 방법# hostname 방법2) # echo "test" > /etc/hostname : 영구적이며 재부팅 필요# hostname 방법3) # hostnamectl set-hostname test : 영구적이며 즉시 적용 가능# hostname 방법4) # nmcli general hostname test : 영구적이며 즉시 적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