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swan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Ethernet 본문

System of Infra/Network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Ethernet

2swan 2024. 10. 2. 14:42

1. Ethernet Adapter ( 이더넷 어댑터 = LAN 카드 = NIC )

- PC에서 사용하는 LAN 카드

- LAN카드가 2개 있는 경우, '이더넷 어댑터 로컬영역연결 2'와 같은 내용이 추가로 생성

- 이더넷 방식의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NIC 장치

-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

 

*NIC(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LAN 카드

 

 

 

2. Ethernet

LAN 영역에서 사용하는 통신기술 중 하나 (현재 LAN영역의 사실상 표준 방식)

 

 

 

3. IPv4 주소

- IPv4는 IP 주소

- IP 주소의 범위는 0~255 까지

- 0.0.0.0 ~ 255.255.255.255 까지이며, 총 32비트

- IPv6 주소는 총 128비트

- IP(Internet Protocol)주소는 인터넷 공간에서 호스트가 사용하는 고유한 논리 식별자

- 본인 PC의 IP주소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출발지 IP 주소에 해당된다

- IP주소의 첫번째 자리에 따라 클래스가 나뉜다

 

 

IP 주소의 첫 번째 자리에 따른 클래스

구분 IP 주소의 첫번째 자리 범위
Class A 1~126
Class B 128 ~ 191
Class C 192 ~ 223

8.8.8.8(A클래스)는 구글의 DNS 서버의 IP 주소

168.126.63.1(B클래스)는 KT의 DNS서버 IP 주소

127번으로 시작하는 IP 주소는 어떤 클래스에도 속하지 않는다 (LAN 카드 자신을 의미, 루프백 주소로 불리운다)

 

 

 

4. DNS(Domain Name System)

- 인터넷 전화번호부 시스템

- 웹 브라우저는 IP 주소를 통해 상호작용 하는데, 전화번호부에(홍길동, 010-xxxx-xxxx)라 기입되어 있듯이 DNS에도(www.naver.com, 192.xxx.xxx.xxx)로 기입되어 있다.

- 도메인이름(www.naver.com)을 IP 주소(192.xxx.xxx.xxx)로 변환하여 브라우저가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한다

 

 

 

5.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IP 주소와 쌍으로 사용하는 개념

- IP주소를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해 표기하는 방식을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이라 한다

- 서브넷 마스크의 255부분과 대응하는 IP주소 부분이 네트워크ID

- 서브넷 마스크의 0 부분과 대응하는 IP주소 부분이 호스트ID

- IP 주소체계는 서브넷마스크로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구분한다

 

서브넷 마스크에 따른 IP주소 구분 예시

IP주소 //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ID 호스트 ID
10.10.10.10 // 255.0.0.0 10 10.10.10
172.15.31.10 // 255.255.0.0 172.15 31.10
192.168.12.13 // 255.255.255.0 192.168.12 13

 

 

 

6. 기본 게이트웨이

- 라우터와 같은 말이며, 소프트웨어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 인터넷망에 접속하기 위해 거쳐가는 역할을 하여,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선 수많은 게이트웨이를 거쳐야한다

- 한 네트워크(sea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지점을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 게이트웨이는 서로다른 네트워크(=서로다른 LAN영역)를 연결해준다 (서로 프로토콜이 다를경우 중재하는 역할)

-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주소는 IPv4에서 4번째 옥텟만 다른경우가 많다 ex)192.168.212.x (호스트 ID만 다름)

게이트웨이 주소는 IP 주소의 부모주소이다 (네트워크 ID를 공유하며, 자식노드를 생성하는 개념으로 호스트 ID를 생성한다)

 

소프트웨어적인 면에서는 게이트웨이라고 하고,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라우터라고 한다. 말 그대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관문이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LAN영역 간 호스트-호스트 사이를 연결해 준다. 이것을 라우팅(routing)이라고 한다.

 

출발지/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다르다면? 다른 LAN 영역에 있다 => 라우팅 필요

출발지/목적지의 네트워크 ID가 동일하다면? 같은 LAN영역에 있다 => 스위칭 필요

 

* 게이트웨이 : 라우터와 유사어, 소프트웨어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

* 라우터 : 게이트웨이와 유사어, 하드웨어 측면을 강조할 때 사용

* 네트워크 ID : 무수한 LAN 영역에서 자기 LAN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해당 LAN 영역을 식별하는 고유 IP주소 대역)

* 호스트 ID : 해당 LAN 영역에 속한 호스트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 출발지 IP와 목적지 IP가 동일하다면, 스위칭이 발생한다고 일컫는다

 

 

 

IP(Internet Protocol)

- IP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의 고유주소이다. 현재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는 IPv4를 사용하고 있다.

- 255.255.255.255와 같은 식으로 각 자리마다 0~255의 숫자 네개로 구성된다. IP에는 공인 IP와 사설IP가 존재한다

 

공인 IP

네이버에 내 ip라고 치면 나오는 ip가 공인 ip이다 공인 ip는 공인기관에서 인증한 공개형 ip주소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주소

 

사설 IP

인터넷이 처음 생겼을 때 공인ip를 마구 배분하다보니 ip부족사태가 발생했고, 핸드폰, 노트북, 컴퓨터 등 인터넷을 사용할때마다 공인 ip를 부여할 수 없게 됐다. 그래서 공유기가 나왔고, 공유기에서 핸드폰, 노트북, 컴퓨터 등에 인터넷 연결을 해주는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즉, 공유기는 하나의 공인 ip를 할당받고 내 컴퓨터는 공유기로부터 ip주소(사설 ip)를 할당받아 인터넷 망에 접속한다.

 

사설 ip는 cmd 창에 ipconfig 또는 ifconfig를 치면 IPv4에 나오는 주소이다. 공인되지 않은 ip주소이고 폐쇄형으로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다.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게 하려면 사설 IP 주소가 필요하다. 또한 이는 자신의 네트워크 망 안에서만 유일한 주소이다.

 

공인 IP와 사설 IP의 차이점

-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하지만, 사설 IP는 하나의 네트워크(회사 사내망, 집) 안에서 유일하다.

- 공인 IP는 외부든 내부든 해당 IP에 접속할 수 있으나, 사설 IP는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단지 내부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 사설 IP에서 외부망에 연결할 때에는 공유기/라우터를 통해 NAT방식으로 공인 IP로 변환한 후 인터넷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은 정확히 어떠한 것을 정의하는 것일까?

네트워크 부분은 통신을 위해서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때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전송이 가능한 영역이라는 뜻이다. 호스트 부분은 각각의 PC를 말하는 것이다.

 

예시로 호스트 3개가 있다고 치자. 

호스트 a의 IP는 210.170.1.1, 호스트 b의 IP는 210.170.1.2, 호스트 c의 IP는 210.170.2.1이라고 하자.

만일 이 호스트들의 써브넷마스크가 255.255.255.0이라고 하면 네트워크 주소 부분이 세번째 부분까지 된다. 따라서 210.170.1.까지 같은 a와 b는 같은 네트워크로 직통연결이 가능하다.

만약 써브넷마스크가 255.255.0.0이라면 a,b,c 모두 같은 네트워크가 되어 직통연결이 가능한 것이다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는 라우터(공유기 등)의 주소이다. 라우터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장비이다. 라우터에는 공인 ip와 사설 ip 둘다 가질 수 있다. 이때 라우터가 가지는 사설 ip가 바로 게이트웨이다.

 

 

포트포워딩

외부에서 접근할 때 공유기의 공인 ip는 하나라서 포트를 붙여서오면 어느 컴퓨터로 연결해줘야할지를 모른다. 여기서 포트포워딩 통해 80번포트로 들어오면 1번컴퓨터, 22번포트는 2번컴퓨터 이런식으로 지정해주는것을 말한다.

 

 

라우터, 공유기, 허브 차이

라우터

컴퓨터에서 발생한 패킷에 의해서 만들어진 정보의 덩어리가 라우팅의 뜻이다. 라우터는 정보의 덩어리인 라우팅을 어디로 보낼 것인지 경로 설정을 하는 기계를 뜻한다

 

IP 공유기

한 IP를 공유하는 기계를 말하며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유일한 번호인 IP 주소가 필요하다. IP가 있어야 요구한 정보가 내 컴퓨터에 다시 돌아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케이블 모뎀의 경우 접속할 때마다 IP가 동적으로 할당된다. IP를 한 개만 주므로 이 한 개의 IP를 가지고 여러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가 IP 공유기이다. 즉 진짜 IP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아이디와 암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IP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가 인터넷 요청을 하면 자기가 찾아다가 요구한 컴퓨터에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허브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하는 장비. 허브는 데이터를 전달할 때 필요한 포트로만 전달을 하는 것이 아니라 포트 전체에 뿌려서 해당하는 PC의 랜카드가 자신의 MAC Address(하드웨어의 고유 넘버를 의미. 각 랜카드 제조회사는 전세계에서 고유의 넘버를 할당받아 각 제품의 고유번호를 부)와 맞으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르면 데이터를 버리는 기술을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속도가 사용자 숫자에 비례해서 떨어지게 된다. 만일 허브가 10Mbps를 지원하고 사용하는 Node 수가 4라면 10Mbps/4가 된다

 

 

 

 

 

 

 

 

 

 

 

 

 

 

 

출처 : https://developer-ping9.tistory.com/75

'System of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4) 2024.10.02
DHCP 서버  (0) 2024.10.02
와이파이 비번 찾기  (0) 2024.08.22
랜포트 LED 의미  (0) 2024.08.20
DNS 서버 확인 및 변경  (0)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