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72)
2swan

*IIS 를 사용하여 FTP 서버를 설치 및 설정 역할 및 기능 추가 설치 유형 선택다음 →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 대상 서버 선택서비스가 되는 서버를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이미 지정이 되어있는 현재 로컬 서버 선택 서버 역할 선택웹 서버(IIS) 선택 기능 선택선택 사항 없이 다음 역할 서비스 선택FTP 서버를 선택하고, 하위 항목까지 체크 설치 선택 확인설치를 클릭하면, FTP 서비스가 설치된다. FTP 설정 방법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관리자 선택 FTP 사이트 추가'사이트 폴더' 마우스 우클릭 후 FTP 사이트 추가 사이트 정보 입력FTP 사이트 이름과,데이터가 업로드&다운로드 되는 실제 경로를 입력 바인딩 및 SSL 설정'SSL 사용 안함' 체크..

터미널 접속1. support2. maintenance3. /opt/Symantec/sdcssagent/IPS/sisipsoverride.sh4. 15. 66. Enter7. elevate
1. telnet# telnet IP PORT 2. curl : 간혹 telnet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보안상 telnet 명령어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curl 사용한다.# curl -v telnet://IP:PORT/ 3. /dev/tcp : telnet, curl 사용이 어렵다면 쉘에서 제공하는 /dev/tcp 기능을 사용한다.# /dev/tcp/IP/PORT# echo $? : $?는 바로 직전 명령어의 실행 결과를 받아온다. (성공 : 0, 실패 : 1 ) Server에서 통신여부 확인netstat# netstat -an | grep PORTLISTEN : 연결을 기다리는 중ESTABLISHED : 연결 중TIME_WAIT : 연결이 끊어짐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오면 Telnet Client 활성화가 안되어 있는 상태 ▶Telnet Client 활성화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목적지 서버의 특정 서비스가 살아 있는지 여부 확인# telnet [목적지 서버 IP 또는 도메인] [포트]1) Trying : 계속 대기 중이면 방화벽(포트)가 닫힌것이다.2) telnet: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Connection refused : 바로 연결거부가 발생하면 방화벽(포트)는 열려 있으나 프로세스가 떠있지 않다는 것이다.(포트를 열고 대기하고 있지 않은 상태)3) 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 방화벽 오픈이 정상..
Hitachi1. 설치 기본 경로 : /usr/DynamicLinkManager/bin 2. 점검명령# dlnkmgr view -path# dlnkmgr view -path | grep -i office# dlnkmgr view -drv : hdisk와의 매핑정보 확인# dlnkmgr view -lu : hdisk와의 매핑정보 및 디스크상태 확인# dlnkmgr view -lu -c -item : 디스크 패치 확인 EMC 1. powerpath에 구성된 HBA 정보 확인# powermt display : FC당 display 정보 확인 (EMC disk 정보를 표시) Summary 값이 optimal이면 정상이다.# powermt display hba_mode 2. fc 디바이스 매칭 (AIX) - 위..

▶Alias 등록으로 지속적으로 숨기기1. ~/.bashrc 파일 편집# vi ~/.bashrcAlias df='df -x tmpfs' 2. 현재 쉘에서 지정한 파일 실행# source ~/.bashrc

1. 파일 시스템 확인# df -Th 2. 현재 디바이스(디스크) 구성 확인# lsblk or lsblk -f 3. 디스크에 파티션 생성# fdisk /dev/sdb- p : 주 파티션- e : 확장 파티션- 'w' 저장 하기 전 'p'를 입력하여 파티션이 정상적으로 등록 되었는지 확인 4. partprobe 명령어를 통해 변경된 파티션 정보 인식# partprobe /deb/sdb 5. 변경된 디스크 구성 확인# lsblk 6. 생성한 파티션에 파일시스템 생성# mkfs.ext4 /dev/sdb1 7. 마운트 할 디렉터리 생성# mkdir -vp /test/testdisk 8. 디렉터리에 파일시스템 마운트# mount /dev/sdb1 /test/testdisk 9. 변경된 파일시스템 확인# df -T..

1. USB 연결 전 물리디스크 확인# fdisk -l 2. USB 연결 상태 확인# dmesg | tail : 시스템에서 인식하였는지# fdisk -l 3. USB 마운트 전 디렉토리 생성# mkdir -vp /mnt/usb : /mnt 하위에 usb 디렉토리를 만든다# chmod 755 /mnt/usb : 쓰기 권한 부여 4. 디렉토리 생성 후 USB 마운트 ( 디렉토리를 저장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mount /dev/sdb1 /mnt/usb# mount -t vfat /dev/sdb1 /mnt/usb 5. df -h 명령어로 /mnt/usb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df -Th 6. 외부저장매체의 test 파일을 /home 디렉토리 경로에 test1 이란 이름으로 복사# cp -r /m..

ipconfig 시 IPv4 주소가 169.254.x.x 이며 게이트웨이가 보이지 않을 때(169.254.x.x는 DHCP Server에서 IP 주소를 받지못해 윈도우가 자동으로 생성한 IP 주소이다) 1. Winsock 재설정 (IP 주소가 갱신되지 않을 때 재설정)# netsh winsock reset 2. TCP/IP 재설정 (보통은 이 부분에서 해결 됨)# netsh int ip reset 3. 기존 IP 해제ipconfig / release 4. 새 IP 할당 받기ipconfig /renew 5. DNS 캐쉬 초기화ipconfig /flushdns

리눅스에서 큰용량의 로그 파일을 열고자 한다면 split 명령어로 로그 파일을 쪼갠다# split -b 1000m test.txt 100m : 100MB1000m : 1000MB

리눅스 종류 및 리눅스 버전 확인# grep . /etc/*-release CPU 코어 전체 갯수 확인#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HostName 확인# hostname Serial Number 확인# dmidecode | grep 'Serial Number' | head -1 메모리 용량 확인#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HDD 용량 또는 갯수 확인# fdisk -l | egrep 'Disk.*bytes' | awk '{ sub(/,/,""); sum +=$5;print $1" "$2" "$3" "$4" "$5" "$6 } END { print "total: " sum/1024/1024/1024 " GB" }' 서비스 모델 확인# dmi..

Windows Server 2025 Client Setup keyWindows Server 2025 Datacenter : VDYBN-27WPP-V4HQT-9VMD4-VMK7H3Windows Server 2025 Standard : WX4NM-KYWYW-QJJR4-XV3QB-6VM33Windows Server 2025 Datacenter:Azure Edition : NTBV8-9K7Q8-V27C6-M2BTV-KHMXV Windows Server 2022 Client Setup keyWindows Server 2022 Datacenter : WX4NM-KYWYW-QJJR4-XV3QB-6VM33Windows Server 2022 Standard : VDYBN-27WPP-V4HQT-9VMD4-VMK7H W..